지난 글에서 언리얼에서 데칼 매터리얼을 만들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매터리얼을 마스터 매터리얼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언리얼 5.4.4 버전을 사용합니다.
언리얼에서 마스터 매터리얼 만들기
언리얼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마스터 매터리얼을 만들고 그 매터리얼의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럼 인스턴스에서 본인이 지정한 부분만 변경하면서 매터리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스터 매터리얼을 만드는 방법은 이와 같습니다. 지난 글에서 데칼 매터리얼을 만들었습니다. 그 매터리얼을 마스터 매터리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그럼 텍스쳐만 변경해서 데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언리얼에서 데칼 만들기
이번에는 언리얼에서 데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언리얼 5.4.4 버전을 사용합니다. 언리얼에서 데칼 만들기 언리얼에서 데칼(decal)은 환경을 만들 때 더 풍부하게 해 줍
kimslo.tistory.com
지난번에 만들었던 데칼 매터리얼 창을 엽니다.
텍스쳐 샘플 노드를 선택합니다. 마우스 우클릭을 해서 Convert to Parameter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이름을 지정합니다. 이 작업은 텍스쳐를 원하는 대로 변경가능하게 해 줍니다.
이대로는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넣은 텍스쳐를 조금 변경할 수 있게 추가로 설정을 더 넣겠습니다.
Scalar 노드와 Multiply 노드를 꺼내줍니다. 생성하는 방법은 마우스 우클릭해서 검색하거나, Scalar Parameter는 S + 마우스 좌클릭으로 생성할 수 있고, Multiply는 M + 마우스 좌클릭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Scalar Parameter 이름은 Brightness로 설정하고, 수치를 1로 지정합니다. 수치 1은 텍스쳐 본연의 색을 보여줍니다. 이름은 다른 것으로 지정해도 됩니다. 알아볼 수 있게 설정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Multiply는 두 값을 곱한 결과를 출력합니다.
밝기 부분을 넣었으니 이번에는 채도 부분을 변경할 수 있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Scalar Parameter를 생성하고 Saturation으로 이름을 지정합니다. 그리고 값을 1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One Minus를 생성합니다. O + 마우스 좌클릭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Desaturation 노드를 생성합니다. Brightness 연결할 노드를 위 부분에 넣어주고, Fraction에서 방금 만든 Saturation과 One minus 노드를 연결한 것을 연결합니다. 위 그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One Munus는 입력값 'X'를 받아 1에서 X를 뺀 값을 출력합니다. Desaturation은 일정 비율에 따라 입력된 색의 채도를 감소하는 표현식입니다.
이번에는 대비 부분을 변경할 수 있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Scalar Parameter를 생성합니다. 그리고 Power도 생성합니다. Scalar Parameter를 생성하였다면, 이름은 Contrast를 지정하고 값은 1로 넣어줍니다. 그리고 위 부분에서 만들었던 연결값을 Power의 Base 부분에, Contrast는 Exp에 연결합니다. 위 그림을 참조하세요.
Power는 Base에 넣은 값에 Exp에 넣은 값만큼 거듭제곱한 결과를 출력합니다.
이번에는 색 부분을 변경할 수 있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Constant4 Vector를 생성합니다. 마우스 우클릭해서 검색하거나 4 + 마우스 좌클릭으로 생성 가능합니다. 그리고 Multiply도 새로 만들어 줍니다. Constant4 Vector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 Convert to Parameter로 변경하고 이름을 지정합니다. 그리고 위에서 만들었던 연결한 값을 Multiply에 연결하고 Tint 값을 연결합니다. 그리고 Base Color에 연결해 줍니다. 이렇게 하면 마스터 매터리얼 설정이 완료된 것입니다.
마스터 매터리얼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 Create Material Instance를 선택합니다. 언리얼은 이렇게 마스터 매터리얼을 만들고, 매터리얼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메쉬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작업합니다.
데칼 매터리얼 인스턴스를 만들고 이름을 수정합니다. 그리고 매터리얼 인스턴스를 두 번 클릭해서 창을 열어줍니다.
창을 열어보면, 위 그림처럼 내가 만든 파라미터가 잘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다른 데칼을 만들고 싶을 때, Texture 파라미터에서 텍스쳐를 변경하면 쉽게 데칼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색상이나 밝기, 채도 등을 변경하고 싶을 때 굳이 포토샵을 재 이용해서 일일이 변경할 필요 없이 파라미터 조정만으로 쉽게 바꿀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언리얼에서 마스터 매터리얼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Unre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리얼에서 고화질 이미지 뽑기 (0) | 2025.03.04 |
---|---|
언리얼에서 파일 다른 프로젝트와 공유하기 (0) | 2025.02.02 |
언리얼에서 데칼 만들기 (0) | 2024.12.02 |
언리얼에서 빈 폴더 삭제하기 (0) | 2024.03.03 |
언리얼에 UASSET 파일 가져오기 (0) | 2024.03.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