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2

언리얼에서 파일 다른 프로젝트와 공유하기 이번에는 언리얼에서 파일을 다른 프로젝트와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리얼에서 작업을 하면 복잡한 작업이 있기 마련입니다. 마스터 매터리얼(Master Material)이나, 매터리얼 펑션(Material Function)을 예를 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그동안 만들었던 파일은 발견할 수 없습니다. 마스터 매터리얼(Master Material)이나 매터리얼 펑션(Material Function) 같은 경우 다른 프로젝트에서 사용될 만한 경우가 많습니다. 다시 마스터 매터리얼을 만들기보다, 이전에 만들었단 파일을 새 프로젝트에 가져오는 것이 작업에 효율성을 높입니다. 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언리얼에서 파일 새 프로젝트에 공유하는 방법 우선, 공유할.. 2025. 2. 2.
블렌더에서 노말 방향 바꾸기 이번 글에서는 블렌더에서 노말 방향 바꾸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블렌더에서 작업을 하다 보면, 여러 가지 이유로 노말 방향을 바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노말 방향을 바꾸는 방법 또한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 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블렌더에서 노말 방향 바꾸는 방법노말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 먼저 현재 메쉬의 노말 방향을 알아야 합니다. 노말 방향을 변경할 메쉬를 선택하고 Tab을 클릭해서 에디트 모드로 전환합니다.   블렌더 우측 상단에서, Mesh Edit Mode Overlays 창을 열어서 Normals 부분에서 가운데 아이콘을 클릭해서 활성화 합니다. 그럼 뷰포트에서 노말 방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를 클릭해서 전체 선택을 합니다.   블렌더 상단에서 Mesh를 클릭.. 2025. 1. 31.
서브스턴스 디자이너에서 복잡한 노드 한 노드로 묶기 이번에는 서브스턴스 디자이너에서 복잡한 노드를 한 노드로 묶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브스턴스 디자이너에서 작업을 하다 보면 노드가 엄청 복잡하고 길어집니다. 그리고 어떠한 노드들은 반복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러한 노드를 한 노드로 만들면 노드의 복잡함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복잡한 노드를 한 노드로 만드는 방법은 이와 같습니다.  서브스턴스 디자이너에서 복잡한 노드 한 노드로 묶기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노드 무리를 우선 선택합니다.   마우스 우클릭, Create Graph From Selection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원하는 이름으로 지정합니다.   그럼 Explorer 창에서 생성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 번 클릭해서 생성된 그래프 창에 들어가면, 선택한 노드가 있습니다.  .. 2024. 12. 6.
언리얼에서 마스터 매터리얼 만들기 지난 글에서 언리얼에서 데칼 매터리얼을 만들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매터리얼을 마스터 매터리얼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언리얼 5.4.4 버전을 사용합니다.   언리얼에서 마스터 매터리얼 만들기 언리얼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마스터 매터리얼을 만들고 그 매터리얼의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럼 인스턴스에서 본인이 지정한 부분만 변경하면서 매터리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스터 매터리얼을 만드는 방법은 이와 같습니다. 지난 글에서 데칼 매터리얼을 만들었습니다. 그 매터리얼을 마스터 매터리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그럼 텍스쳐만 변경해서 데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언리얼에서 데칼 만들기 언리얼에서 데칼 만들기이번에는 언리얼에서 데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4. 12. 3.
언리얼에서 데칼 만들기 이번에는 언리얼에서 데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언리얼 5.4.4 버전을 사용합니다.    언리얼에서 데칼 만들기 언리얼에서 데칼(decal)은 환경을 만들 때 더 풍부하게 해 줍니다. 데칼은 보통 알파로 만들어져 있으며, 어디에든 쉽게 배치할 수 있습니다. 데칼을 만드는 방법은 이와 같습니다.   먼저, 포토샵에서 텍스쳐를 만듭니다. 텍스쳐를 만들 때 알파로 만듭니다. 파일은 tga 또는 png 파일로 저장합니다. 저는 위 이미지는 png 파일을 저장하였습니다. 그리고 해당 이미지 파일을 언리얼에 임포트합니다.    그리고 마우스 우클릭, 매터리얼을 클릭해서 새로운 매터리얼을 만듭니다. 그리고 이름을 지정합니다.   새로 만든 매터리얼을 두 번 클릭해서 매터리얼 창을 엽니다. 좌측에서.. 2024. 12. 2.
서브스턴스 페인터에서 고퀄리티 이미지 뽑기 이번에는 서브스턴스 페인터에서 고퀄리티 이미지 뽑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브스턴스 페인터에서 고퀄리티 이미지 뽑기 서브스턴스에서 텍스쳐 작업이 마무리되면, 아티스트는 보통 마모셋이나 엔진이 올려 이미지는 추출합니다. 그런데, 서브스턴스 페인터에서 바로 높은 품질의 이미지를 뽑을 수 있습니다.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서브스턴스 페인터 뷰포트 화면은 페인팅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우선 Iray 모드로 변환합니다. 우측 상단의 카메라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단축키 F10을 클릭합니다.   또는 좌측 상단에서 Mode 탭을 열어 Rendering을 클릭하면 Iray 화면으로 전환됩니다. 먼저 바탕화면 설정을 합니다.    화면 우측의 모니터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해.. 2024. 10. 28.
블렌더 4.2 애드온 위치 이번에는 블렌더 4.2 버전 애드온이 위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블렌더 4.2 애드온 위치블렌더 4.2 버전을 설치하면 잘 사용하던 몇몇 애드온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몇몇 애드온이 이전 버전 애드온에서 찾을 수 없을 것입니다. Add-ons 탭에서 소수의 애드온만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나머지 애드온은 어디에 있을까요? 그 애드온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측 상단 Edit - Prefereces 를 클릭해서 창으로 엽니다.   Preferences 창에서 Add-ons 위를 보면 Get Extensions 탭이 있습니다. 클릭하면, 설치에 대해 설명이 있습니다. 저는 이미 설치해서 애드온이 보입니다. 설치를 하면 다른 많은 애드온을 확인할.. 2024. 10. 26.
블렌더에서 실밥 만들기 블렌더에서 실밥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블렌더에서 천 종류의 아이템을 만들다 보면, 실밥을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 실밥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블렌더에서 실밥 만들기 아래 그림과 같은 가방이 있습니다.  가방에서 실밥이 필요한 부분이 있을 것입니다.   메쉬를 선택하고, Edit Mode로 전환합니다. 실밥이 필요한 부분의 엣지를 선택합니다. 그 부분에 엣지가 없다면, 엣지를 추가합니다. 실밥이 필요한 부분의 엣지를 선택한 후, Shift + D로 엣지를 복사하고 P로 분리합니다.   분리한 엣지 메쉬를 선택합니다. 마우스 우클릭, Convert to에서 Curve를 선택하여 Curve로 변환합니다.그리고 실밥이 될 메쉬를 만들어 줍니다. Shift.. 2024.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