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real10 언리얼에서 고화질 이미지 뽑기 이번에는 언리얼에서 고화질 이미지 뽑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글에서는 언리얼에서 스크린샷 찍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이미지는 품질이 그렇게 좋지 않습니다. 언리얼에서 작업을 끝내고 이미지나 영상을 뽑아야 작업이 마무리가 됩니다. 잘 만들었으니, 이미지도 화질을 좋게 뽑아야 하지 않을까요?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리얼 엔진 스크린샷 찍기 언리얼 엔진 스크린샷 찍기이번에는 언리얼 엔진에서 스크린샷 찍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리얼 엔진 스크린샷 찍는 방법 언리얼에서 작업하는 과정이나 완성된 씬 이미지를 저장해야 될 때가 있습니다. 언리얼kimslo.tistory.com 언리얼에서 고화질 이미지 뽑는 방법 우선 언리얼에서 플러그인(Plugins).. 2025. 3. 4. 언리얼에서 파일 다른 프로젝트와 공유하기 이번에는 언리얼에서 파일을 다른 프로젝트와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리얼에서 작업을 하면 복잡한 작업이 있기 마련입니다. 마스터 매터리얼(Master Material)이나, 매터리얼 펑션(Material Function)을 예를 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그동안 만들었던 파일은 발견할 수 없습니다. 마스터 매터리얼(Master Material)이나 매터리얼 펑션(Material Function) 같은 경우 다른 프로젝트에서 사용될 만한 경우가 많습니다. 다시 마스터 매터리얼을 만들기보다, 이전에 만들었단 파일을 새 프로젝트에 가져오는 것이 작업에 효율성을 높입니다. 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언리얼에서 파일 새 프로젝트에 공유하는 방법 우선, 공유할.. 2025. 2. 2. 언리얼에서 마스터 매터리얼 만들기 지난 글에서 언리얼에서 데칼 매터리얼을 만들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매터리얼을 마스터 매터리얼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언리얼 5.4.4 버전을 사용합니다. 언리얼에서 마스터 매터리얼 만들기 언리얼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마스터 매터리얼을 만들고 그 매터리얼의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럼 인스턴스에서 본인이 지정한 부분만 변경하면서 매터리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스터 매터리얼을 만드는 방법은 이와 같습니다. 지난 글에서 데칼 매터리얼을 만들었습니다. 그 매터리얼을 마스터 매터리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그럼 텍스쳐만 변경해서 데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언리얼에서 데칼 만들기 언리얼에서 데칼 만들기이번에는 언리얼에서 데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4. 12. 3. 언리얼에서 데칼 만들기 이번에는 언리얼에서 데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언리얼 5.4.4 버전을 사용합니다. 언리얼에서 데칼 만들기 언리얼에서 데칼(decal)은 환경을 만들 때 더 풍부하게 해 줍니다. 데칼은 보통 알파로 만들어져 있으며, 어디에든 쉽게 배치할 수 있습니다. 데칼을 만드는 방법은 이와 같습니다. 먼저, 포토샵에서 텍스쳐를 만듭니다. 텍스쳐를 만들 때 알파로 만듭니다. 파일은 tga 또는 png 파일로 저장합니다. 저는 위 이미지는 png 파일을 저장하였습니다. 그리고 해당 이미지 파일을 언리얼에 임포트합니다. 그리고 마우스 우클릭, 매터리얼을 클릭해서 새로운 매터리얼을 만듭니다. 그리고 이름을 지정합니다. 새로 만든 매터리얼을 두 번 클릭해서 매터리얼 창을 엽니다. 좌측에서.. 2024. 12. 2. 언리얼에서 빈 폴더 삭제하기 언리얼에서 빈 폴더를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리얼에서 빈 폴더 삭제하는 방법 언리얼에서 작업을 하다 보면 파일을 정리할 때가 있습니다. 그럼 파일을 선택하고 다른 폴더를 이동할 일이 있습니다. 또는 폴더의 이름을 변경할 때가 있습니다. 파일을 옮길 때는, 파일을 원하는 폴더로 드래그 앤 드롭하고 Move Here을 선택합니다. 하지만 파일은 옮겨졌지만, 폴더는 그대로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폴더를 클릭하면 빈 폴더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폴더를 삭제하려고 하면 경고 메시지가 뜹니다. 그것을 무시하고 그냥 삭제하면, 그 폴더 안에 있었던 파일까지 모조리 삭제가 되니 주의해야 합니다. 빈 폴더를 삭제하기 전에 해야되는 절차가 있습니다. 가장 최상위에 있는 폴더를 선택합니다. 그.. 2024. 3. 3. 언리얼에 UASSET 파일 가져오기 언리얼에서 작업을 하면서 파일을 가져와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중, UASSET 파일을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리얼에서 uasset 파일 가져오기 언리얼에서 작업을 하면, 다양한 파일들은 언리얼에 가져오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언리얼에 파일을 가져올 때는 직접 파일을 언리얼 콘텐츠 브라우저에 드래그 앤 드롭을 하거나 Import를 클릭해서 파일이 있는 위치로 가 선택하여 가져옵니다. 그런데, uasset 파일은 임포트해서 가져올 수가 없습니다. uasset 파일을 가져오려면, 내가 그 파일을 가지고 오고 싶은 폴더에 위치를 찾아 직접 복사 붙여 넣기를 해야 합니다. 우선 그 파일을 가지고 오고 싶은 폴더를 새로 만들거나, 기존 폴더 중 원하는 폴더를 선택합니다.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sho.. 2024. 3. 3. 언리얼 새 레벨 만들기 이번에는 언리얼에서 새로운 레벨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리얼에서 레벨이라 함은 하나의 배경월드 또는 배경 씬이라고 간단하게 생각하면 됩니다. 언리얼 새 레벨 만드는 방법 본인이 새 프로젝트는 어떻게 생성했느냐에 따라 언리얼 실행 시 첫 화면을 다를 것입니다. 첫 화면은 무시하면 됩니다. 새로운 레벨을 만드려면, 언리얼 창 상단에서 File - New Level을 클릭합니다. 그럼, 위와 같은 창이 뜹니다. 내가 만들 레벨을 고려하여 4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고 Create를 클릭합니다. Ctrl + S로 저장할 때 저장경로와 이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레벨을 생성하는 다른 방법은, 레벨을 생성할 폴더를 먼저 열어 마우스를 위치합니다. 이것은 레벨의 저장 경로가 됩니다. 그리고 마우.. 2024. 1. 16. 언리얼 엔진 스크린샷 찍기 이번에는 언리얼 엔진에서 스크린샷 찍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리얼 엔진 스크린샷 찍는 방법 언리얼에서 작업하는 과정이나 완성된 씬 이미지를 저장해야 될 때가 있습니다. 언리얼에서 스크린샷 찍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뷰포트에서 찍고 싶은 화면을 먼저 조정해 줍니다. 그리고 뷰포트 좌측 상단 옵션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High Resolution Screenshot을 클릭합니다. 그럼, 위와 같은 창이 뜹니다. Screenshot Size Multiplier에서 숫자를 입력합니다. 숫자가 커질수록 이미지 사이즈가 커집니다. 하단에 Capture를 클릭합니다. 우측 하단에 이미지가 저장되는 경로가 뜹니다. 또는 키보드에서 좌측 상단 ` 키를 클릭하거나 언리얼 화면 하단에 Enter Console .. 2024. 1. 1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