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언리얼 엔진 인터페이스와 화면 조작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글에서는 언리얼 엔진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이제 언리얼 엔진을 실행하고, 언리얼 인터페이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언리얼 프로젝트 생성하기
먼저 새 프로젝트를 만들어야 합니다.
에픽게임즈 런처를 실행합니다. 언리얼 라이브러리에서 설치한 엔진 버전 실행을 클릭하거나 우측 상단의 실행을 클릭합니다.
위 그림처럼 프로젝트 생성창이 뜹니다. 왼쪽에서 Games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7개의 메뉴 중에 원하는 것을 선택하고 하단에서 프로젝트 저장 경로를 지정합니다. 우측에서 블루프린트를 선택합니다. C++의 경우는 프로그래머가 아닌 이상, 블루프린트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죠?! 그리고 다른 것은 그대로 두고, Starter Content는 필요하면, 체크하면 됩니다. 그런데 비활성화하고 프로젝트를 생성하더라도 나중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이름을 지정하고 하단에 Create를 클릭해서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언리얼 인터페이스
위 화면을 보면, 콘텐츠 브라우저가 안 보입니다. 저와 같은 경우는 콘텐츠 브라우저가 보이는 게 작업하기 편해서 꺼내놓고 작업합니다.
언리얼 상단 Window - Load Layout - UE4 Classic Layout 을 선택하면 콘텐츠 브라우저가 하단에 보입니다. 또는 언리얼 하단에 Content Drawer를 클릭하면 콘텐츠 브라우저 창이 뜹니다. 그것을 원하는 위치에 붙여서 사용하면 됩니다.
그럼 언리얼 인터페이스에 대해 하나씩 설명하겠습니다.
언리얼 메뉴 바
언리얼 엔진 상단에 메뉴 바가 있습니다.
메뉴 바에는 파일(File), 창(Window), 도움말(Help) 등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언리얼 메인 툴 바
메뉴 바 바로 밑에 있는 것은 메인 툴 바 입니다. 메인 툴 바는 언리얼 에디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좌측 첫번째는 저장 버튼입니다. 그리고 바로 옆에 Select Mode가 있습니다. 여기에는 Selection, Landscape, Foilage, Mesh Paint, Modeling, Fracture, Brush Editing, Animation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축키는 순서대로 Shift + 1, 2, 3, 4, 5, 6, 7, 8입니다.
메인 툴 바 옆에는 콘텐츠 아이콘이 순서대로 있습니다. 순서대로 생성, 블루프린트, 시네마틱 아이콘이 있습니다. Create는 에셋 목록이 있습니다. Place Actors 패널의 에셋 목록입니다. 그리고 블루프린트는 블루프린트를 생성하고 액세스합니다. 시네마틱은 레벨 시퀀스 또는 마스터 시퀀스 시네마틱을 생성합니다.
콘텐츠 아이콘 옆에는 플레이 모드 컨트롤이 있습니다. 언리얼에서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플레이, 건너뛰기, 중지, 탈출 등의 버튼이 순서대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맨 끝에는 세팅 아이콘이 있습니다. 언리얼 에디터, 레벨 에디터 뷰포트 및 게임 동작에 대한 다양한 세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것은 Project Settings와 Plugins을 자주 사용합니다.
언리얼 레벨 뷰포트
뷰포트 화면은 현재 열려 있는 레벨을 표시합니다. 언리얼 엔진에서 프로젝트를 열 때 프로젝트의 기본 레벨이 뷰포트 화면에 디폴트로 열립니다. 이 화면에서 게임 환경을 확인 및 편집할 수 있습니다.
언리얼 콘텐츠 브라우저
콘텐츠 브라우저는 프로젝트에 포함된 모든 에셋, 블루프린트 및 기타 파일을 표시하는 파일 익스플로러 창입니다. 이 창에서 콘텐츠를 탐색하고, 새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불러올 수 있습니다.
언리얼 아웃라이너
아웃라이너는 현재 레벨의 모든 콘텐츠를 표시합니다. 그리고 액터를 선택하면 아래 디테일 창에서 액터의 내용이 표시됩니다. 아웃라이너에서 눈 버튼을 클릭해서 액터를 보이게 하거나 숨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웃라이너에서 폴더를 생성해서 액터를 관리하기 쉽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언리얼 뷰포트 화면 조작하기
뷰포트 화면을 조작할 수 있어야, 레벨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언리얼 뷰포트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화면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마우스만으로도 화면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Pespective 화면에서 마우스 좌클릭으로 카메라를 앞뒤로 이동하고 좌우로 회전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 우클릭은 카메라가 회전합니다. 마우즈 휠 클릭은 카메라 화면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
Orthographic 화면에서 마우스 좌클릭은 박스 셀렉트로 액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 우클릭은 화면을 이동합니다. 그리고 마우스 휠 클릭은 거리 또는 길이를 수치를 잴 수 있습니다.
하나의 액터를 선택하고 선택한 액터를 자세히 보고 싶은 단축키 F를 클릭하면 포커스 됩니다.
뷰포트 화면 조작은 키보드로도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W + 마우스 모든 키(마우스 아무 키를 클릭해도 됩니다.), 위쪽 방향키, Numpad 8 은 카메라를 앞으로 이동합니다.
S + 마우스 모든 키, 아래쪽 방향키, Numpad 2는 카메라를 뒤로 이동합니다.
A + 마우스 모든 키, 왼쪽 방향키, Numpad 4 는 카메라를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D + 마우스 모든 키, 오른쪽 방향키, Numpad 6 는 카메라를 오른쪽으로 이동합니다.
E + 마우스 모든 키, Page up, Numpad 9 는 카메라를 위로 이동합니다.
Q + 마우스 모든 키, Page down, Numpad 7 은 카메라를 아래로 이동합니다.
Z + 마우스 모든 키, Numpad 1 은 카메라를 줌 아웃 합니다.
C + 마우스 모든 키, Numpad 3 은 카메라를 줌 인 합니다.
Alt + 마우스 좌클릭 은 내가 바라보는 지점 주위로 회전합니다.
Alt + 마우스 우클릭 은 내가 바라보는 지점을 중심으로 줌 인 아웃 합니다.
Alt + 마우스 휠클릭 은 마우스 방향에 따라 카메라가 이동합니다.
다양한 방식으로 뷰포트 화면을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이 편한 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이렇게 언리얼 인터페이스와 뷰포트 화면 조작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Unre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리얼에서 빈 폴더 삭제하기 (0) | 2024.03.03 |
---|---|
언리얼에 UASSET 파일 가져오기 (0) | 2024.03.03 |
언리얼 새 레벨 만들기 (0) | 2024.01.16 |
언리얼 엔진 스크린샷 찍기 (0) | 2024.01.14 |
언리얼 엔진 설치하기 에픽게임즈 런처 설치하기 (0) | 2023.12.22 |
댓글